You are currently viewing 그리스도인은 안 될 것 같지만, 해 보면 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리스도인은 안 될 것 같지만, 해 보면 할 수 있게 됩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마음이 움직여야 몸이 움직인다고 믿어 왔습니다. 마음 안에 할 수 없다는 생각이 있으면 행동으로 옮길 수 없다는 것인데, 그런데 최근에는 몸의 행동이 마음을 바꾸고, 삶 전체를 바꿀 수 있다는 심리 및 정신분석 임상 보고서가 많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실은 최근이 아니라, 현대 심리학의 아버지라 일컫는 윌리엄 제임스가 1890년에 출간한 [심리학의 원리]에서 일찌감치 그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그는 ‘어떤 성격을 원한다면, [내가] 이미 그런 성격을 가진 사람처럼 행동하라. 그리하면 그 성격에 근접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이런 이론을 ‘As If’ 원칙이라고 합니다.

행동심리학자들은 “마음보다 행동이 먼저다”라고 합니다. 마음이 행동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행동이 우리의 마음을 바꾼다는 것입니다. 예컨대 마음에 사랑을 느껴야 행동이 시작된다고 하지만, 행동을 옮길 때 마음에서 사랑을 느낄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 좋은 기분을 만들고 싶다면 즉시 의도적으로 활기찬 행동을 하면 된다고 합니다.

물론, 쉬운 일이 아니지만 작정한 행동이 습관화되려면 자신의 마음과 싸움을 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중간에 포기하고 싶은 욕망, 더 쉬운 길을 가려는 유혹과 싸워 이겨 본 사람은, 꾸준하게 작정한 대로 행동으로 할 수 있음을 증명하며 실천할 수 있습니다. 할 수 있는데 안 해서 못하는 것입니다.

모든 일이 처음부터 쉽게 되는 일이란 없습니다. 세월이 가면 어느 날 믿음이 성장하는 것이 아닙니다. 공동체의 결정에 함께 협력하기로 결정하고, 해 봐야 믿음이 생깁니다. 해 보지 않아서 어렵게 느껴지지만 한 번 끝까지 해 보겠다는 각오로 몸을 움직이면, 안 될 것 같지만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앙생활의 지속력은 마음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습관화된 행동으로 됩니다. 일단 행동의 루틴(Routine)이 형성되면 몸의 생체 시계가 마음을 작동하게 됩니다. 운동의 효과가 그것을 증명합니다. 힘들지만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다 보면, ‘아! 무조건 해야 되는 구나! ’하고 마음에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기는 것입니다.

신앙생활을 하면서, 해보지 않고 “우연히” 혹은 “어쩌다가” 좋은 일이 일어날 것으로 생각하는 것은 죽은 믿음입니다. 불가능할 것 같을 때 해 봐야 합니다. 해 보지 않고 서는 믿음이 성장할 수 없고, 본인 자신을 믿을 수 없습니다. 해보고 해 내면 그때부터 자신에 대한 신뢰감이 점점 생기게 됩니다.

그리스도인인 우리는 성령님께서 돕는 플러스 알파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할 수 없을 것 같을 때 해보면 할 수 있게 됩니다. 해 보지 않고 두려움과 불안 때문에 못한다는 생각에 붙잡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 영적 싸움입니다. 안 해서 못하는 것이니, 못한다고 말하지 말고 해보는 우리가 됩시다. (장목사 드림)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