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currently viewing 목장은 신앙생활을 훈련하고 연습하는 자리입니다.

목장은 신앙생활을 훈련하고 연습하는 자리입니다.

신앙생활은 피곤함이 아니라 행복해야 합니다. 이유는 하나님이 우리를 행복한 자라(신33:29)고 말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성도는 이미 거듭남으로 하늘 복을 소유했으니, 신앙생활이 행복하지 않는 것이 이상한 것입니다.

그런데도 신앙생활이 행복하지 않다고 한다면, 그 이유는 나에게 있습니다. 신앙 따로 생활 따로 이분화된 삶을 살기 때문에 행복하지 않습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마음으로는 믿는데, 생활이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말씀대로 살아보려고 해도 엄두가 나지 않는 것은, 들은 말씀 그대로 살다 가는 인생의 낙오자가 될 것 같기 때문입니다. 듣고 머리로는 이해가 되는데, 그대로 살지 못해서 죄책감을 느끼니 신앙생활이 행복하지 않는 것입니다.

수 없이 목사의 설교를 들어도 삶이 변하지 않으면 이유가 있습니다. 말씀대로 살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변화를 원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훈련과 연습을 할 장소가 없기 때문입니다. 머리는 알고 입으로는 말하는데, 실천하면서 신앙을 점검 받을 곳이 없어서 그렇습니다.

좋은 운동선수가 되기 위해서는 코치에게 들은 것을 몸으로 연습해야 합니다. 좋은 요리사가 되기 위해서는 요리 강습에서 배운 것을 주방에서 실습해야 합니다. 불편한 과체중을 줄이려면 에어로빅 비디오만 봐서는 살이 빠지지 않고 운동과 식생활을 훈련 받아야 합니다.

앎이 삶이 되려면 귀로 들은 설교 말씀을 연습하거나 실습할 곳이 필요합니다. 머리로 아는 것은 지식적 동의와 사유에 불과한 것이지, 삶으로 증명되기 전에는 진정한 신앙의 앎이 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실행에 옮기기 전에는 사변적이거나 관념에 머무는 것입니다.

신앙의 길은 냉철해야 합니다. 나의 신앙을 진솔하게 누군가에게 점검 받아야 합니다. 왜 내가 삶이 변하지 않는지, 어떻게 하면 성장과 변화를 위해 실천하면서 기쁨과 행복을 누릴 수 있는지, 함께 훈련하고 연습하며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설교에서 들은 사랑, 용서, 섬김 등은 1차적으로 목장 식구들을 대상으로 연습해 볼 수 있습니다. 또 신앙 선배인 목자로부터 어떻게 크리스천 답게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지, 경험에 기초한 코칭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다가 실패를 맛보거나 상처를 입으면, 목장에서 하소연도 하고 위로와 기도도 받을 수 있습니다.

은혜로운 설교로 감동이 되어도, 들은 것을 적용해 볼 수 있는 자리가 없으면, 초대교회 이단인 영지주의처럼 말씀에 대한 지식만 많아지고, 생활이 말씀 따라 가지 않으므로, 자동적으로 다른 사람에 대하여 비판과 판단하며 종교의식에만 매달리게 됨으로, 말씀을 실천해 보는 목장이 꼭 있어야 합니다.

교회는 병원이고, 교실이고, 체육관 역할을 하는 곳입니다. 목장에서 서로 위로하고, 서로 가르쳐주고, 서로 격려하며 교정해 주고, 함께 VIP를 찾아 섬기면서 영혼구원을 위해 헌신을 연습할 때 행복해집니다. 새롭게 편성된 목장에서, 경청과 공감으로 존중을 배우고, 섬김으로 협력을 배우면서, ‘아! 이래서 신앙생활이 행복하구나!’ 하고, 감사해서 하나님께 영광 돌리기를 바랍니다. (장목사 드림)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