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살아가면서 어떤 행동이나 사고의 사실관계가 옳고 틀림의 문제로 결론 되어질 것이라고 쉽게 단정합니다. 그래서 틀린 것은 빨리 지적해 주고 고쳐 주려고 합니다. 답을 안다는 이유로, 사랑한다는 이유로 서둘러 가르쳐서 고쳐 주려고 합니다.
그러나 옳은 것이 끝까지 옳음으로, 틀림이 끝까지 틀림으로 끝난다는 철칙은 없습니다. 틀린 것에 대하여 깨닫고 중간에 교정할 수 있는 것이 사람입니다. 사람은 단순히 기계적인 존재가 아니라, 생각보다 훨씬 더 정서적이고 입체적이고 복합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대화하면서 ‘이게 아니다’ 틀렸다 싶으면 재빨리 틀린 이유를 지적해 주기보다 먼저 정서적으로 무조건 지지해주고 믿어주는 것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사람은 자기 생각이나 행동에 대해 잘잘못을 따져 교정하려고 할 때 오히려 마음에 반발과 분노가 생겨서 더 이상 듣지 않기 때문입니다.
누가 봐도 틀린 일을 할 때에, ‘너 틀렸다’고 하지 말고 ‘그래 네가 옳다’라고 지지해 주면 금방 자만심에 빠져 어리석은 일을 할 것 같아도 그렇지 않습니다. 틀렸다고 지적하고 비난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주면, 자기의 잘못을 알고 마음에 조금씩 여백을 내보이는 것이 사람입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안도감이 있은 후에야 다음 행보를 어떻게 할지 서서히 결정합니다. 예를 들면, “이제 지쳤다. 모든 것 다 내려놓고 싶다. 일 그만 두고 싶다. 누구도 만나고 싶지 않다.”고 할 때 “야! 네가 그러면 되느냐, 그럴 수 없지, 그러면 안 되지”라는 말을 하면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그때는 뭔가 그럴만한 이유가 있어서 하는 말이니, 사실관계를 떠나 틀려도 ‘그래 네가 옳다’는 반응과 공감을 해 주는 것이 그 사람의 마음을 대하는 예의이며, 제대로 듣는 순서입니다. 그 부정적 감정이나 피곤한 입장에 대한 수용을 해 주면, 과격한 자기주장을 내려놓고 조언에 귀 기울이고 교정하게 됩니다.
대화하는 중에 상대방이 ‘죽고 싶다’고 해도 실제 죽고 싶은 것이 아니라 살고 싶은데, 죽고 싶은 그 사정과 형편을 좀 알아 달라는 마음을 전하는 것입니다. 그것을 모르고 막무가내로 옳고 틀렸음을 지적하면 더 이상 진실한 감정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존재에 대한 인정’을 위해 부정적으로 말할 수 있습니다. 인정받기 위해서입니다. 그러므로 말도 되지 않는 주장을 할 때는 분명히 그럴 만한 이유와 사정이 있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 듣기도 전에 ‘너 틀렸다’고 따끔한 쓴 소리를 하면, 오히려 방어벽을 세우고 말문을 닫게 합니다.
목사나 목자는 틀린 것을 받아 주는 쿠션의 마음이 있어야 합니다. 감정에 공감해 주어야 합니다. 사실관계에 너무 집중하면, 공감의 부재로 감정이 상하기 때문에, 일단 먼저 ‘그래 네가 옳다’고 해 준 뒤에 사정과 형편의 자초지종을 들어야 합니다. 매주 목장 모임에서 감정을 먼저 공감해 주면, 나눔이 풍성해질 것입니다. (장목사 드림)